2028학년도 수능 예시문항
2027년도에 실시되는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예시 문항이 공개되었습니다.
수능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예시문항과 설명, 그리고 각 영역 문제지와 정답표가 공개되었습니다.
2024년 9월에 새롭게 신설된 통합사회와 통합 과학 에 관한 26개의 예시문항을 발표한 것이 있으나, 실제 수능과 동일한 형식으로 문제지와 설명이 공개된 것은 처음입니다.
국어와 수학은 문항 수에서 변함이 없지만, 사회와 과학은 20문항에서 25문항으로, 30분 시험 실시에서 40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이와 함께 9월에 실시하던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출제 모의고사)가 수시 전형과의 연관성 및 사교육 억제를 위해 8월로 옮겨졌다는 것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첨부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문제지와 정답표도 영역별로 공개되었습니다.
전체 합본과 함께 올립니다.
입시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고등학교 1학년은 이제 중학교의 티를 벗어나서, 내신과 수능에 대한 준비를 함께 해야할 겁니다.
내신도 중학교와 달리 준비를 해야할 겁니다.
암기가 이해 중심으로 응용력과 적용력을 중심으로요.
그러면 수능도 함께 준비할 수 있고, 내신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여기에서는 새롭게 공개된 국어 영역 시험의 변화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을 하겠습니다.
<내용 영역의 변화>
가. 평가 내용 영역: 화법, 언어, 독서, 작문, 문학
나. 평가 행동 영역: 어휘/개념,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적용/창의
큰 틀에서는 변화가 없습니다.
문항 수와 응시 시간의 변화도 없기 때문에, 국어는 큰 변화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화법 5문항, 작문 5문항, 언어 5문항, 문학 15문항, 독서 15문항(총45문항)
으로 선택 수능 이전의 시험과 유사해졌습니다.
하지만, 세부 내용을 보면 차이가 있습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
가. 화법과 언어의 융합 문항
나. 독서와 작문의 융합 문항
다. 자료집에 제시된 것과 같이 성취기준과 문항의 관련성제시
->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화법과 작문'과 '언어와 매체', '독서' 과목이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를 반영해서 '화법'과 '언어'를 연계했고, '독서'와 '작문'을 연계했습니다.
-> 그래서 문항 순서도 '화법->언어->독서->작문->문학'순으로 제시했습니다.
(물론, 앞으로 문항 순서는 변경될 수 있겠지만, 예시문항을 통해 수능을 준비하라고 했으니, 큰 순서는 유지하면서 시험을 출제하겠죠.)
-> 그리고 수능 실시 이후에 제시하던 수능 문제와 교육과정의 연계도 일부 문제이지만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개정 교육과정을 연계하겠다는 의미이겠네요.
<문항 유형의 변화>
가. 화법과 언어의 연계, 독서와 작문의 연계 문항(상대적으로 문학은 거의 변화가 없음)
나. 학습 활동, 활동지, 발표, 토의 등의 학교 수업 모습을 전제한 문항
-> 연계 문항은 당연히 새로운 개발된 것이기에, 문항의 유형이 변화를 했습니다.
(예를 들면, '화법과 언어' 관련 문항에서 '발표'를 바탕으로 제시문을 주어지고, 이와 연계한 언어 문제르르 제시함.)
-> 수업 정상화와 연계해서 수업 활동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발문이 많이 등장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은 학생이 과제 수행 후 실시한 발표이다.
다음은 학생회 토의 중 일부이다.
<학습활동>을 수행한 결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음은 학생이 작성한 학습 활동지이다.
(가)와 (나)는 학생이 읽은 글이고 (다)는 이를 바탕으로 쓴 논증하는 글의 초고이다.
다음은 작문 상황과 학생이 작성한 초고이다.
다음은 체험 일지의 일부이다.
다음은 '초고'를 쓴 학생이 교지 편집부장과 사회 관계망 서비스에서 나눈 대화이다.
다음은 윗글을 읽고 진행한 교과 융합 수업의 <학습활동>이다. )
관련 EBS의 설명 강의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2028 대학수학능력시험 예시 문항 분석
2028 대학수학능력시험 예시 문항 분석
www.ebs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