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공통국어2

창비교육 공통국어2 목차

commonkorean 2025. 2. 13. 14:38
반응형

  • 1. 한국 문학의 흐름 (문학) [16]
  • (1) 제망매가 / 시조 두 수: 월명사 / 송순, 작자 미상 [16]
  • (2) 최척전 (조위한) [16]
  • (3)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 (백석) [17]
  • (4) 노찬성과 에반 (김애란) [17]
  • (깊고 넓게 읽기) 에스에프(SF)와 함께라면 어디든 (심완선) [17]
  • 2. 디지털 시민의 소동(매체|듣기•말하기|읽기) [17]
  • (1) #지구 #소통_얄개 [17]
  • (2) 슬기로운 엠비티아이(MBTI) 사용법 (이정희) [17]
  • (깊고 넓게 읽기) 뉴미디어가 올드 미디어를 죽이는가 (김경화) [17]
  • 3. 국어의 역사와 한글 맞춤법 (문법) [17]
  • (1) 국어의 변화와 발전: 세종어제훈민정음, 용비어천가 [17]
  • (2) 함께 지키는 한글 맞춤법 [17]
  • (깊고 넓게 읽기) 17세기 왕실의 한글 편지 (정명회) [17]
  • 4. 문제를 해결하는 말과 글 [17]
  • (1) 인공 지능과 인간의 미래: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 (장동선), 저건 사람도 아니다 (서유미) [17]
  • (2) 등굣길과 출근길 안전 확보를 위한 협상 [17]
  • (3) 어느 시대에든 인문학은 필요하다 (김민섭) [17]
  • (깊고 넓게 읽기) 10년 후, 다시 부끄럽기를 (송길영) [17]
  • 5. 함께 읽고 쓰는 즐거움(읽기|듣기•말하기|쓰기) [18]
  • (1) 기후 변화는 정말 위기인가요? (권승문•김세영) [18]
  • (2) 함께 탐구하며 공동 보고서 쓰기 [18]
  • (깊고 넓게 읽기) 책을 왜 같이 읽는가 (장은수)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