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테크/구글 연습세트

구글 슬라이드 '웹에 게시' 활용 방법 안내(자료 공유 방법)

commonkorean 2025. 3. 15. 12:14
반응형

구글 슬라이드의 '웹에 게시' 기능은 프레젠테이션을 웹 페이지 형태로 공개하여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프레젠테이션을 웹사이트나 블로그에 삽입하거나, 링크를 통해 공유할 수 있습니다.

 

자료 공유할 때, 파일로 전달하는 것보다 자료 보안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저는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자료를 공유하거나, 알림판에 자료를 공유할 때 사용합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웹 페이지 형태로 자료를 게시할 수 있고, 생성된 링크를 통해 누구나 프레젠테이션을 볼 수 있도록 공유합니다. ( HTML 삽입 코드를 제공하여 웹사이트나 블로그에 프레젠테이션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구글 슬라이드 자동 진행 시간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드가 넘어가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강의 자료나 학습 자료 등을 구글 슬라이드로 만들어 학생들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나 블로그에 삽입하여 시각적인 자료를 추가하여 자료를 풍부하게 할 수 있습니다. 

 

 

사용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글 슬라이드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을 엽니다. 

 

[메뉴] - [파일] - [공유]-[웹에 게시] 클릭

 

 

 

 

[웹에 게시]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웹에 게시하는 설정을 할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공유 환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를 웹에 게시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공개하세요. 문서 링크를 올리거나 문서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라고 안내가 되어 있네요.

 

[링크]에서는 자동 진행 슬라이드 시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링크에 접속하자마자 구글 슬라이드 쇼를 시작할지와 마지막 슬라이드 실행 이후 다시 구글 슬라이드 쇼를 시작할지를 묻는 체크박스와 설명이 있습니다.

 

 

노란색으로 되어 있는 [게시]를 클릭하면 공유가 됩니다. 

 

 

그러면 상단에 확인 요청 팝업창이 나옵니다.

\

 

 

그러면 이제 공유할 링크가 생성됩니다. 

 

이를 복사해서 공유하시면 구글 슬라이드를 웹에 게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단에 게시된 콘텐츠 및 설정을 누르시면

1. 게시된 구글 슬라이드를 공유 중지할 수 있고,

2. 링크를 공유해도 제가 속한 구글 워크스페이스 도메인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저는 학교에서 구글 워크스페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체크하면, 학교에 소속된 도메인만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보안에도 유익한 설정입니다. 

 

 

웹에 게시 창에서 [링크] 옆 [삽입]을 클릭하면 HTML 삽입하여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HTML 편집 모드로 전환하여 삽입 코드를 원하는 위치에 붙여 넣으면 됩니다.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스마트 에디터 one의 '코드블록']을 사용합니다.

티스토리는 'HTML' 편집 모드를 사용합니다.

워드프레스는 텍스트' 편집기 또는 '사용자 정의 HTML' 블록을 사용합니다.

학생들과 자료를 공유할 때 활용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