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공통국어1

음운 변동의 실제(창비교육 공통국어 학습활동)

commonkorean 2025. 3. 20. 09:24
반응형

 

음운 변동은 발음을 쉽게 하여 발음의 경제성을 높이면서도 표현을 보다 명료하게 함으로써 뜻이 더 분명히 전달하도록 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잘 활용해서 올바른 국어 발음과 생활을 하자고요.

 

 

창비교육 공통국어 2. 슬기로운 국어생활 (1) 음운 변동은

활동1 - 기본 개념 및 확인 하기

활동2 - 음운 변동의 실제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확인 하기를 통해 익힌 문법 음운 개념을 곧바로 점검할 수 있고, 활동2를 통해 익힌 학습 요소를 실제 활동을 하면서 학습 내용을 이해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음운 변동의 실제를 통해 교체, 탈락, 첨가, 축약이라는 4가 유형의 음운 변동 양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교과서 부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교과서 활동을 보시죠.

 

 

 

1번 활동은 한 단어 안에서 음운 변동이 여러 번 일어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활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앞날[암날]'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교체된 'ㅂ'이 뒤에 오는 비음인 'ㄴ'의 영향으로 한 번 더 교체가 일어나 한 단어 안에 두 번의 교체가 일어난 단어입니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비음화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잇는 문제입니다.

 

 

1번의 두 번째 활동은 '서울역[서울력]'이라는 단어에서 합성에서 앞 형태소와 뒤 형태소 사이에 'ㄴ'이 첨가되고, 첨가된 'ㄴ'이 앞의 자음 'ㄹ'의 영향으로 교체되어 한 단어 안에서 첨가와 교체 현상이 나타난 사례입니다.

 

 

 

 교과서 날개에서는 '복합적 음운 변동'이라고 해서 '한 단어 안에서 음운 변동이 여러 번 일어나기도 한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밭이랑[반니랑]'은 음절 끝소리 규칙과 'ㄴ'첨가, 그리고 비음화가 나타나는 단어로 세 가지 음운 변동이 일어납니다. 

<국어사전: 밭이랑[반니랑] 밭의 고랑 사이에 흙을 높게 올려서 만든 두둑한 곳>

('밭이랑[바치랑]'으로 발음하는 것은 '이랑'이 조사로 형식 형태소일 때는 구개음화와 연음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 밭이랑 → [받이랑] (음절의 끝소리 규칙)
  • [받이랑] → [받니랑] ('ㄴ' 첨가)
  • [받니랑] → [반니랑] (비음화)

 

 

 

2번 활동을 보시죠. 

 

광한루는 [광ː할루], 대관령은 [대ː괄령], 한라산은 [할ː라산]

낙화암은 [나콰암], 집현전은 [지편전], 전곡항은 [전고캉]

독도는 [독또], 박달재는 [박딸재], 을숙도는 [을쑥또]

국망봉은 [궁망봉], 백마강은 [뱅마강], 죽녹원은 [중노권]

 

전국 각지에 있는 우리나라 명소를 발음할 때 일어나는 음운 변동을 탐구하라는 활동이네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유명 명소나 지명에 대한 발음도 확인해 보세요.

 

3번 활동입니다.

실생활 속에서 자신의 주변의 발음 및 표기 생활을 돌아보도록 하는 활동이네요. 

sns에 빨리 전달해야 한다는 생각에 정확한 표기와 발음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정확한 뜻을 전달하기가 어렵답니다. 

 

'조아'의 경우 'ㅎ'탈락을 반영하여 '좋아'라고 표기해야 합니다. 

 

 

그리고 요즘 가장 많이 틀리는 '거야' 를 '꺼야'로 표기하는 것도 주의해야 합니다. 

표준발음법 27항에 보면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먹을'이 있기 때문에 '꺼야'로 발음하지만, 표기는 '거야'로 해야합니다. 

 

이와 유사한 '할게'와 '할께'를 보시죠. 

한글맞춤법 53항에서는 ' 다음과 같은 어미는 예사소리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라고 이야기합니다. 

 

‘ㄹ’로 시작하는 어미는 된소리로 소리가 나더라도 소리 나는 대로 적지 않습니다. 

그런데, ‘ㄹ’로 시작하는 어미 중에서 의문을 나타내는 다음 어미들은 된소리로 적습니다. 

 

한글맞춤법에서 다만이라고 예외를 두고 있네요. 

 

마지막 문제를 보시죠.

대중 가요 가사를 통해서 음운 변동을 친구들과 함께 탐구해 보도록 하는 활동입니다. 

 

밥 먹고[밤먹꼬] - 비음화 와 된소리되기

않는[안는] - 자음군 단순화

수학 문제[수ː항문ː제] - 비음화

못해도[모ː태도] -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거센소리되기

일곱 시[일곱씨] - 된소리 되기

약속 장소[약쏙짱소] - 된소리 되기

꼭 만나[꽁만나] - 비음화

있잖아[읻짜나] - 음절의 긑소리 규칙, 도니소리 되기, 'ㅎ'탈락

 

어렵지만 함께 배우고 익혀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