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2028학년도 대입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 계획 중 국어 영역 안내(1학년 수준)

commonkorean 2025. 2. 15. 08:18
반응형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한자는 '大學修學能力試驗'입니다. 

이를 쉽게 풀어 보면, 대학에서 학문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국어 영역에서는 대학에서는 다양한 글로 공부를 해야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교과서에 배운 지문을 활용해서 시험을 출제하지 않고, 낯선 지문으로 시험을 출제합니다. 

학교에서 보는 정기고사에서는 교과서 지문과 내용을 평가하지만,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한 번도 보지 못한 지문을 읽고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단, 사교육 경감 대책으로 EBS 수능 특강과 완성 교재에 있는 문학 지문이나 독서 내용을 연계해서 출제하기도 합니다. 

 

결론: 고등학교 교과서 지문으로 보는 정기고사와 다른 방법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해야함.

 

그렇다면 어떻게 준비해야할까요?

 

우선 매년 3월 말에 발표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을 보겠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능 시행기본계획 공지 화면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 계획(2024.03.28.) 발표를 기본으로 안내합니다.

수능은 국가가 관리하는 시험으로 시험에 대한 안내를 3월 말에 공고합니다.

최근 수능시행 기본계획은 큰 틀에서는 변화가 없습니다.

올해도 3월 말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 공고될 예정입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공부한다면 한 번 정도는 읽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2025학년도대학수학능력시험시행기본계획.hwp
0.23MB

 

출제 기본 방향(napkin)

1. 국어 영역 출제 방향

  1)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의 내용과 수준을 고려하여 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출제함.

 2) 국어과 핵심역량을 고려하여 어휘개념,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적용창의 등 국어 활동과 관련된 사고력을 측정하는 데 역점을 둠.

 3) 국어 영역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국어 교과의 독서, 문학,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과목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여 출제함.

 

→ 측정하고자 하는 사고력: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적용/창의, 어휘/개념

→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 독서, 문학,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 2025학년도 수능은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공부한 학생이고, 2025학년도는 2022개정 교육과정으로 공부합니다. 2015 개정에서 2022개정 정도만 바뀔 것으로 예상.

 

 

2.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에 대한 이해

 1)  내용 영역: 독서, 문학,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 2026학년도와 2028학년도 수능은 차이가 있습니다. 2026학년도 수능은 '화법과 작문'과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선택해서 시험에 응시하지만, 2028학년도부터는 화법, 작문, 언어를 모두 응시해야합니다. 

 →  출제 범위: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 문학(2022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목명이 변경되었음.)

[교육부+01-21(화)+조간보도자료]+2028학년도+대학수학능력시험+시험+및+점수+체제+안내 (1).hwpx
0.50MB

2028 수능 개편 보도 자료

 

 

  → 고등학교에서 대부분 1학년 때에는 공통국어를 공부하는데, 공통국어에는 '읽기, 문학, 문법, 듣기말하기, 쓰기, 매체'를 내용을 배웁니다. 따라서 대학수학능력시험 내용 영역을 공통국어에서 기본적인 내용을 공부합니다. 

 →  따라서, 공통국어를 열심히 공부하면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의 기본적인 내용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2) 사고력: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적용/창의, 어휘/개념

  가. 사실적 이해: 언어로 표현된 말이나 글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 말이나 글에 담긴 정보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 말이나 글의 조직과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

  나. 추론적 이해: 말이나 글에서 직접 명시되지 않은 정보를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능력, 내포적(함축적, 문맥적) 의미를 추론하는 능력, 전제나 논거를 추론하는 능력, 전후 관계를 추론하는 능력, 필자의 견해, 주장, 의도를 추론하는 능력

  다. 비판적 이해: 말이나 글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그 내용의 타당성, 적절성, 가치 및 우열에 대해 평가하며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평가하는 능력

  라. 적용/창의: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말이나 글의 개념과 원리를 새로운 맥락에 적용 또는 활용하는 능력, 말이나 글의 생산을 위해 내용을 생성, 조직, 표현, 수정하는 능력

  마. 어휘/개념: 어휘의 지시적 , 문맥적, 비유적 의미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 속담이나 고사 성어 같은 관용어를 정확하게 이해, 표현하는 능력, 문장과 문단의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표현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화법, 작문, 독서, 문법, 문학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기본 개념

 

행동 영역은 수능의 문제의 유형(NAPKIN)

 

    →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사고력은 5가지로, 학교 수업 시간에도 사고력을 신장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면서 공부를 합니다. 

    →  특히 국어 영역의 경우에는 학습활동의 문제가 이 5가지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문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공통국어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준비 

  1) 5개 내용영역은 공통국어 교과서를 바탕으로 내용 영역에 대한 공부

 

  2) 5개 행동영역은 이를 묻고 있는 학습활동 등을 통해 공부

 

  다음 글에는 공통국어 교과서를 통해 내용 영역과 행동 영역을 설명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