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공통국어1

음절의 끝소리 규칙(창비교육 공통국어)

commonkorean 2025. 2. 20. 09:24
반응형

창비교육 공통국어 교과서에 설명된 음운변동 -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교과서 예시에 대한 추가 설명

 음절  끝소리 규칙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예시가 있어 설명을 추가합니다. 

 숲길 - [숩낄]: 음절의 끝소리 규칙으로 'ㅍ'이 'ㅂ'이 되었고, '길'의 'ㄱ'은 된소리되기가 된 것입니다. 

  (된소리되기는 예사소리가 된소리가 되는 현상입니다. 'ㄱ, ㄷ, ㅂ, ㅅ, 지'이 'ㄲ, ㄸ, ㅃ, ㅆ, ㅉ'으로 바꿔지는 것입니다.)

 

 

음절 끝소리 규칙과 평파열음화

학교 문법에서 사용되지 않던 '평파열음화'라는 용어가 모의고사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자음 체계표에서 파열음인 'ㄱ, ㄷ, ㅂ'의 예사소리(평음)와 'ㅋ, ㅌ, ㅍ;의 거센소리가 있습니다. 

평파열음화는 거센소리가 예사소리(평음)가 된다는 것입니다. 

음절 끝소리 규칙과 다른 것은 7개의 발음 중에 교체가 일어나는 것은 'ㄱ, ㄷ, ㅂ' 뿐입니다. 

나머지 'ㄴ, ㄹ, ㅁ. ㅇ'은 다른 음운으로 바뀌지 않습니다.

그래서 문법을 연구하는 분들의 연구 성과를 반영해서 모의고사에 '평파열음화'로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이를 출제하기 위해서는 <보기>를 제시하니 배우지 않은 개념이 나온다고 걱정하지 마세요.1)

1학년에서는 교과서에 나온 음절 끝소리규칙을 이해하면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