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은 기초 개념이 필요한 영역입니다.
초등학교 때부터 배운 우리말의 문법 기초 지식을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심화하면서 배우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학교에서 배운 문법 지식이 있어야 심화된 고등학교 문법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문법 즉, 언어 영역의 문제가 출제가 되며, 문제에서 기초적인 문법 지식을 활용하여 출제되기 때문에 수능을 준비하기 위해서라도 기초적인 문법 기초 용어나 내용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중학교에서 형태소를 배웠는데, 이에 대한 개념과 종류까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음절 끝소리 규칙을 설명하는 교과서에서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의 개념을 활용해서 음절 끝소리 규칙을 설명하니까요.
또한 수능에서도 형태소 개념을 활용해서 지문이나 문제가 구성되며, 단어에 관한 내용에서도 형태소의 개념을 활용해서 지문이나 선지가 만들어집니다.
여기서는 중학교 때 배운 문법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우선 중학교에서 배우는 문법 내용은 교육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
[9국04-01] 언어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국어 생활을 한다.
[9국04-02] 음운의 체계를 알고 그 특성을 이해한다.
[9국04-03] 단어를 정확하게 발음하고 표기한다.
[9국04-04] 품사의 종류를 알고 그 특성을 이해한다.
[9국04-05] 어휘의 체계와 양상을 탐구하고 활용한다.
[9국04-06] 문장의 짜임과 양상을 탐구하고 활용한다.
[9국04-07] 담화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한다.
[9국04-08] 한글의 창제 원리를 이해한다.
[9국04-09] 통일 시대의 국어에 관한 관심을 가지는 태도를 지닌다.
--------------------------------------------
성취기준에 의거해서 중학교 국어에서는 음운, 단어, 문장에 대한 이해와 함께 담화, 어문 규범에 관한 문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음운 체계와 특성(자음 체계, 모음 체계), 단어의 표기와 발음 방법, 품사의 종류와 특성, 어휘의 체계와 양상, 문장의 짜임(홑문장과 겹문장, 이어진 문장과 안은 문장), 담화의 개념과 특성, 한글 창제의 원리 등이 학습 요소입니다. 또한 언어의 본질(자의성, 사회성, 역사성, 창조성)과 남북 통일 시대에 대해 배웁니다.
그래서 이들에 대한 좀더 자세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열심히 공부해 보세요.
'국어 > 공통국어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비교육 공통국어 문법 요소와 어휘 기초 문법 용어 (0) | 2025.03.13 |
---|---|
교과서 음운변동 기초 문법 용어(창비교육 공통국어) (1) | 2025.03.13 |
고1 기출 문제로 수능 국어 맛보기 (0) | 2025.03.07 |
브로콜리 펀치 전문 읽기 확인 형성평가 (창비교육 공통국어) (0) | 2025.03.06 |
'나는 오늘'(오은) 패러디 시 공모전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