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에서 배운 문법 내용이 고등학교 문법 관련 수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수능에서도 기초 문법 용어가 정답을 찾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중학교에서 배운 문법 기초 내용이 중요한데요.
여기서는 창비교육 공통국어 2-(2) 문법 요소와 어휘 교과서로 공부하는 학생들이 중학교 때에 배워서 익히고 있어야 할 기초 문법 용어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교과서 파일입니다.
68쪽 기초 문법 용어
1. 상대: 화자가 말을 건네는 대상, 즉 듣는 사람을 의미한다.
2. 주체: 문장에서 서술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대상이나 서술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대상으로, 보통 주어에 해당한다.
3. 객체: 문장에서 동사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으로, 보통 목적어나 부사어에 해당한다.
4. 대우: 어떤 사회적 관계나 태도를 대하는 일
5. 종결어미: 한 문장을 종결되게 하는 어말 어미. 동사에는 평서형·감탄형·의문형·명령형·청유형이 있고, 형용사에는 평서형·감탄형·의문형이 있다.
6. 선어말어미: 용언의 어간과 어미 사이에 위치하여 시제, 높임 등의 의미를 추가하는 어미이다.
7. 주격 조사: 주어임을 나타내는 조사로, ‘이, 가, 께서’ 등이 있다.
8. 부사격 조사: 문장에서 부사어를 만들며, 장소, 시간, 원인, 목적 등을 나타내는 조사로 ‘에, 로, 에서, 까지’ 등이 있다.
69쪽 기초 문법 용어
1. 형용사: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 활용할 수 있어 동사와 함께 용언에 속한다.
2. 서술격 조사: 문장 안에서,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 또는 일부 부사나 연결 어미 뒤에 붙어 서술어 자격을 가지게 하는 격 조사로, ‘이다’가 대표적이다.
3. 관형사형 어미: 문장에서 용언의 어간에 붙어 관형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어미. ‘-ㄴ’, ‘-는’, ‘-던’, ‘-ㄹ’ 따위가 있다.
4. 중의성:한 단어나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뜻으로 해석될 수 있는 현상이나 특성을 의미한다.
70쪽 기초 문법 용어
1. 접미사: 파생어를 만드는 접사로, 어근이나 단어의 뒤에 붙어 새로운 단어가 되게 하는 말로, 단어의 끝부분에 붙어 뜻을 더하거나 품사를 바꾸는 역할을 하는 형태소이다.
2. 명사: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 특정한 사람이나 물건에 쓰이는 이름이냐 일반적인 사물에 두루 쓰이는 이름이냐에 따라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로, 자립적으로 쓰이느냐 그 앞에 반드시 꾸미는 말이 있어야 하느냐에 따라 자립 명사와 의존 명사로 나뉜다.
3. 주어: 술어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되는 말로, 보통 ‘이/가’와 함께 쓰인다.
4. 목적어: 타동사가 쓰인 문장에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말로, 보통 ‘을/를’과 함께 쓰인다.
5. 서술어: 한 문장에서 주어의 움직임, 상태, 성질 따위를 서술하는 말로, 보통 동사나 형용사가 해당한다.
'국어 > 공통국어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해라는 문(박준) + 종암동(박준) 창비교육 공통국어 (2) | 2025.03.14 |
---|---|
2022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음운변동 비교(창비교육 공통국어 중심으로) (0) | 2025.03.14 |
교과서 음운변동 기초 문법 용어(창비교육 공통국어) (1) | 2025.03.13 |
고1 공통국어 문법 이해를 위한 중학교 문법 정리 (0) | 2025.03.12 |
고1 기출 문제로 수능 국어 맛보기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