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슬기로운 국어생활
(1) 음운변동
관련 성취기준: [문법]
[10공국1-04-02] 음운 변동을 탐구하여 발음과 표기에 올바르게 적용한다.
성취기준 해설이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없습니다.
해설이 없는 경우에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해설을 참고하면 됩니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10국04-02] 음운의 변동을 탐구하여 올바르게 발음하고 표기한다.
(해설) 이 성취기준은 음운 변동에 내재된 원리와 규칙을 탐구하여 올바른 발음과 표기 생활을 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여러 가지 음운 변동 현상 중에서 발음 생활과 표기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음운 변동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비음화, 유음화, 된소리되기(경음화), 구개음화, 두음 법칙, 모음 탈락, 반모음 첨가, 거센소리되기(유기음화) 중에서 선택하여 다루되, 음운 변동 규칙에 대한 학습보다는 실제 발음 생활이나 표기 생활에 적용되는 사례를 중점적으로 다루도록 한다.
이에 준해서 비음화, 유음화, 된소리되기, 구개음화, 모음탈락, ‘ㄴ’ 첨가, 거센소리되기 등을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를 보겠습니다.
<2024학년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와 해설>
14. <보기>의 학습 활동을 수행한 결과로 적절한 것은?
㉠ | ㉡ | |
① | 옷맵시[온맵씨] | 꽃말[꼰말] |
② | 덮개[덥깨] | 묵념[뭉념] |
③ | 부엌문[부엉문] | 앞날[암날] |
④ | 광안리[광알리] | 권력가[궐력까] |
⑤ | 귓속말[귇쏭말] | 습득물[습뜽물] |
<해설>
14. [출제 의도] 음운 변동 이해하기 ①
‘옷맵시[온맵씨]’에서는 비음화와 된소리되기가 둘 다 발생하였으며, ‘꽃말[꼰말]’에서는 비음화는 발생하고 된소리되기는 발생하지 않았다.
② ‘덮개[덥깨]’에서는 비음화는 발생하지 않고 된소리되기는 발생하였으며, ‘묵념[뭉념]’에서는 비음화는 발생하고 된소리되기는 발생하지 않았다.
③ ‘부엌문[부엉문]’과 ‘앞날[암날]’에서는 모두 비음화가 발생하고 된소리되기가 발생하지 않았다.
④ ‘광안리[광알리]’에서는 비음화와 된소리되기가 둘 다 발생하지 않았고, ‘권력가[궐력까]’에서는 비음화는 발생하지 않고 된소리되기는 발생하였다.
⑤ ‘귓속말[귇쏭말]’과 ‘습득물[습뜽물]’에서는 모두 비음화와 된소리되기가 둘 다 발생하였다.
<2024학년도 9월 고1 전국연합학령평가 문제 및 해설>
13. <보기>의 활동을 모든 학생이 바르게 수행했을 때, ‘학생 2’가 쓴 단어로 적절한 것은?
① 삯일[상닐] ② 옷맵시[온맵씨]
③ 겉핥기[거탈끼] ④ 색연필[생년필] ⑤ 넓죽하다[넙쭈카다]
<해설>
13. [출제 의도] 음운의 변동 탐구하기②
‘학생 1’이 쓴 ‘솜이불[솜ː니불]’에서는 첨가가 일어나고, ‘학생 3’이 쓴 ‘밟히다[발피다]’에서는 축약이 일어난다. 앞 학생이 쓴 단어에서 일어나지 않는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단어를 쓰는 활동이므로 첨가와 축약을 제외하고 교체 또는 탈락이 일어나는 단어를 쓰면 된다. ‘옷맵시[온맵씨]’에서는 다른 음운 변동 없이 교체만 일어나므로 적절하다.
① ‘삯일[상닐]’에서는 탈락, 교체, 첨가가 일어난다.
③ ‘겉핥기[거탈끼]’에서는 교체, 탈락, 축약이 일어난다.
④ ‘색연필[생년필]’에서는 첨가, 교체가 일어난다.
⑤ ‘넓죽하다[넙쭈카다]’에서는 탈락, 교체, 축약이 일어난다.
수업 시간에 배운 지식을 전국연합학력평가를 확인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비해 보세요.
'국어 > 국어 공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과서 학습활동으로 수능 준비하기(창비교육 공통국어 '브로콜리 펀치'(이유리)) (0) | 2025.03.11 |
---|---|
교과서 학습활동으로 수능 준비하기(창비교육 공통국어 '나는 오늘'(오은)) (1) | 2025.03.11 |
2025학년도 고등학교 1학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준비 방법(기출 문제 확인) (0) | 2025.03.05 |
2. 슬기로운 국어생활 (2) 문법 요소와 어휘 성취기준과 전국연합학력평가 연계 (0) | 2025.03.04 |
1. 문학 소통과 개성적 표현 성취기준과 전국연합학력평가 기출 문제 연계 자료 (0) | 2025.03.04 |